위험성평가 개요, 단계별 수행방법, 업종별 평가사례 및 실습 등 위험성평가 실시에 필요한
실무역량 배양과 사업장의 안전보건관리를 위해 알아야 할 관리감독자의 의무와 역할을 습득하는 교육
산업안전보건법 제36조
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 제24조
사업주가 스스로 유해·위험요인을 파악하고 위험성 수준을 결정하여 위험성을 낮추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마련하고 실행하는 과정
사전준비
유해·위험요인 파악
위험성 결정
대책 수립 및 실행
기록 및 공유
교육기간 | 대상 | 교육형태 |
---|---|---|
2일 (16시간) | 위험성평가 담당자, 관리감독자 등 | 집체교육 |
* 교육비에 중식비는 포함되지 않음
과목명 | 교육내용 |
---|---|
위험성평가 개요 | 위험성평가 제도 개요 및 배경 |
위험성평가 기본 및 사례 | 위험성평가 원칙 및 절차 |
관리감독자의 임무와 역할 | 관리감독자의 임무 및 역할 |
유해·위험물질 작업안전 실무 | 유해위험물질의 위험성 및 MSDS의 이해 |
위험성평가 실시규정 작성 실습 | 위험성평가 실시규정 작성 |
업종별 위험성평가 실습 | 위험성평가 작성 실습 및 사례 |
위험성평가 담당자 교육을 수료한 자에 대하여 해당 시기에 사업주가 실시해야 하는 관리감독자 교육을 수료 시간만큼 인정,
단 사업장에 해당하는 업종별(제조업, 건설업, 기타업) 과정을 이수하는 경우에 한함
위험성평가 인정 신청 대상 사업장
산재예방요율제 시행에 따라 산재보험요율 20% 인하
클린사업장 조성지원 보조금 1,000만원 추가 지원
정부 포상 또는 표창 우선 추천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