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장 안전관리에 필요한 전문성 확보 및 업무 스킬 고도화를 위해 제공되는 심화 교육
(직무 보수교육 또는 당해년도 관리감독자 교육 면제)
안전보건교육규정 제20조
산업안전보건법 제32조 및 시행규칙 제30조
운영과정 | 교육시간 |
---|---|
안전문화 정착을 위한 관리책임자 교육 | 6시간 |
실습중심의 작업위험성평가 (JSA) 실무 | 8시간 |
핵심 실무로 배우는 안전작업허가서 작성 및 관리 | 8시간 |
안전의 시작! 작업 전 안전점검활동(TBM) | 16시간 |
산업재해 대응 및 처리 실무 | 16시간 |
물질안전보건자료(GHS-MSDS) 운영 실무 | 16시간 |
사업장 화학물질관리 실습과정 | 16시간 |
전기안전 업무 능력 향상 과정 | 16시간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해설 | 24시간 |
산업재해 ZERO화를 위한 위험성평가 기법 | 24시간 |
행동기반안전(BBS) 실무 역량 강화 | 16시간 |
안전 작업을 위한 호흡용 보호구 완전정복 | 8시간 |
운영과정 | 교육시간 |
---|---|
PSM Beginner 과정 | 16시간 |
알기 쉬운 HAZOP 기법 실습 과정 | 16시간 |
PSM 이행상태(등급평가) 준비 핵심 실무과정 | 16시간 |
실무로 배우는 PSM Skill-up | 16시간 |
PSM 기술기준 해설 | 24시간 |
PSM 변경요소 관리 | 24시간 |
PSM 자체감사 실무 | 24시간 |
PSM Academy-Basic 과정 | 24시간 |
PSM Academy-General 과정 | 24시간 |
PSM Academy-Master 과정 | 32시간 |
ISO 45001 & KOSHA-MS 실무담당자 교육 | 16시간 |
ISO 45001 & KOSHA-MS 내부심사원 교육 | 16시간 |
이론 및 실무능력을 겸비한
우수 강사 다수 보유
업종별 다양한
안전 콘텐츠 보유
현장의 니즈와 최신 트렌드
반영한 교육 커리큘럼 설계
최신 교육장 보유
사업장 안전관리에 필요한 전문성 확보 및 업무 스킬 고도화를 위해 제공되는 심화 교육
* 법정교육 (직무 보수교육, 관리감독자 교육)으로 대체되지 않는 과정교육 과정 | 과정 개요 | 교육시간 |
---|---|---|
ISO 45001 & KOSHA-MS 문서화 핵심 실무 | ISO 45001 및 KOSHA-MS 기반 문서관리체계 수립 및 문서화 실무 이론·실습 교육 | 8시간 |
발주자 안전관리 역량 강화 과정 | 건설 발주자·도급인을 위한 산업안전보건법 책임 및 위험성평가 등 전문성 강화교육 | 16시간 |
안전교육강사 양성 과정 | 안전교육강사를 위한 강의의 질적 향상·강의기법·교수역량 향상 과정 | 16시간 |
중대재해처벌법의 이해와 사업장 관리 방안 | 중대재해처벌법 이해 및 위험관리·안전문화 구축 역량 강화 과정 | 6시간 |
중대재해처벌법 운영실무 | 중대재해처벌법 대응을 위한 안전보건체계 구축·운영 실무교육 | 6시간 |
핵심 사례 중심의 중대재해처벌법 | 사례와 질의응답을 통한 산업안전보건법 중대재해처벌법 연계 이해 과정 | 16시간 |
스마트 안전관리기법을 활용한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
스마트 안전관리기법 기반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표준모델 제시 과정 | 6시간 |
안전코칭지도사(SAC) 자격과정 | 안전코칭에 필요한 스킬을 학습하고 이를 구사할 수 있는 전문가를 배양하는 과정 | 16시간 |
안전코칭전문사(SPC) 자격과정 | 안전코칭의 역량을 강화하여 안전코칭 전문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과정 | 24시간 |
안전문화관리사 자격과정 | 인적·문화적 요인을 반영한 안전관리 전문가 양성 과정 | 16시간 |
화학물질관리법 개토 및 취급시설 관리 | 화관법 이해 및 문제 해결·의사결정 역량 강화 과정 | 12시간 |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실무 |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관련 필요한 스킬과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 | 12시간 |
이론 및 실무능력을 겸비한
우수 강사 다수 보유
현장 적용성이 높은
실무 중심의 교육 과정
법정 내용과 별개로 사업장
니즈 반영한 교육과정 설계
최신 교육장 보유